[Linux] 리눅스에서 아파치 웹 서버 상태 확인하는 방법 (번역)
본문
apachectl로 웹 서버 상태 확인하기
아파치 웹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apachectl 명령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sudo apachectl status
아파치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터미널에 서버의 가동 시간과 총 요청 수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또는, 활성화되었지만 잘못 설정된 아파치 서버에 대한 오류 정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mod_status로 아파치 서버 상태 확인하기
아파치 웹 서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mod_status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을 활성화하면, http://localhost로 접속하여 서버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아파치 server-status 활성화하기
server-status를 활성화하려면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몇 가지 명령만 입력하면 됩니다. 우분투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mods-enabled/status.conf 설정 파일을 열어서 server-status가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합니다.
sudo nano /etc/apache2/mods-enabled/status.conf
파일의 부분을 다음과 같이 편집하여 자신의 IP 주소에서만 서버 상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SetHandler server-status Require local #Require ip 192.0.2.0/24
마지막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변경 사항이 적용되려면 아파치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SysVinit을 사용하는 클래식 리눅스 시스템이라면 systemctl 대신 service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systemctl 명령에도 이 대체어를 사용하세요!
RHEL과 Fedora에서는 server-status를 활성화하기 위해 약간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server-status 설정 파일을 엽니다.
nano /etc/httpd/conf.d/server-status.conf
다음으로, 부분을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편집합니다.
Sethandler server-status Require ip YourIPAddress
위의 텍스트 조각에서 YourIPAddress를 자신의 IP 주소로 바꿔야 합니다. 완료되면,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마지막으로, systemctl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httpd
이제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server-status로 이동하면, 아파치 서버의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현재 처리중인 요청, CPU 사용량, 접속자 수, 가동 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 명령으로 아파치 상태 확인하기
ps(프로세스 상태)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아파치 웹 서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모든 활성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보고 싶은 출력을 지정하고, “apache2”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ps -aux | grep apache2
RHEL과 Fedora에서는 apache2 대신 httpd를 사용하여 위의 명령을 실행하세요!
이 명령은 아파치 프로세스의 PID,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실행 시간 등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정보는 아파치 서버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op 명령으로 아파치 상태 확인하기
top 명령은 ps 명령과 비슷하지만, 실시간으로 프로세스의 정보를 갱신해줍니다. top 명령을 사용하여 아파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top -b -n 1 | grep apache2
RHEL과 Fedora에서는 apache2 대신 httpd를 사용하여 위의 명령을 실행하세요!
이 명령은 ps 명령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지만, 한 번만 실행되지 않고 계속해서 갱신됩니다. 따라서 아파치 서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netstat 명령으로 아파치 상태 확인하기
netstat 명령은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유틸리티입니다. netstat 명령을 사용하여 아파치 서버가 어떤 포트에서 수신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netstat -ntlp | grep apache2
RHEL과 Fedora에서는 apache2 대신 httpd를 사용하여 위의 명령을 실행하세요!
이 명령은 아파치 프로세스의 PID와 프로토콜, 로컬 주소와 포트, 외부 주소와 포트 등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정보는 아파치 서버가 어떤 IP 주소와 포트에서 접속을 받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Mobile - 삼성 갤럭시 Z 플립 7 FE 유출 렌더링 공개?! 저렴한 폴더블의 디자인이 이런 모습?2025-03-29
-
Mobile - 이건 몰랐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의외의 10가지 활용법2025-03-29
-
Computer - RTX 5090 노트북 벤치마크 등장! 얼마나 빨라졌을까?2025-03-29
-
Mobile - iPadOS 18.4, 곧 업데이트된다! 아이패드에 새로 추가될 4가지 기능 정리2025-03-27
-
Mobile - 갤럭시 S25 Edge, 2K 디스플레이에 티타늄 프레임까지? 최신 유출 정리2025-03-26
-
Computer - Grok vs DeepSeek, 챗봇 빅매치 7라운드 테스트 결과는?2025-03-26
-
Mobile - 아이패드 A16 vs 갤럭시 탭 S10 FE, 누가 진짜 ‘국민 태블릿’ 자리를 차지할까?2025-03-25
-
Mobile - 삼성 갤럭시 S25 울트라, 이번엔 배터리로 밀릴 수도 있다? 오포 Find X8 울트라 스펙 공개2025-03-25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