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 개발자가 240개의 크롬 탭을 활용해 ‘퐁(Pong)’을 실행하는 데 성공하다
본문
누가 탭을 쓸데없는 clutter라고 했나?
우리는 이미 PDF 파일, AI 모델,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 안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본 적이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한 개발자가 무려 240개의 구글 크롬 탭을 활용해 퐁(Pong)을 완벽하게 실행하는 기괴한 실험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더욱 놀라운 점은, 게임이 실제로 실행되는 공간이 크롬의 뷰포트(viewport)가 아니라 각 탭의 파비콘(favicon)이라는 것이다.
퐁을 파비콘에서 실행한다고?
이 "Faviconic Pong" 프로젝트는 **개발자 놀런 로열티(Nolen Royalty)**가 만든 독특한 실험이다. 이전에도 한 개발자가 파비콘 하나만을 이용해 ‘플래피 버드(Flappy Bird)’를 실행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그보다 몇 배나 더 도전적인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이 게임의 기본적인 원리는 이렇다.
- 크롬의 메인 창이 게임 화면의 하단 절반을 담당한다.
- 나머지 절반은 240개의 크롬 탭 파비콘들이 담당한다.
- 퐁의 패들, 공, 점수판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이 모든 것이 브라우저의 작은 탭 아이콘 안에서 구현된다.
어떻게 이런 게 가능할까?
이 독특한 프로젝트는 macOS의 AppleScript를 이용해 구현되었다. 로열티는 구글 크롬의 내부 시스템을 활용해 각 탭의 파비콘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이를 통해,
- 파비콘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면서 공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처럼 연출할 수 있었다.
- 브라우저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탭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스로틀링(throttl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워커(Web Workers)**를 활용했다.
- 탭 간 동기화를 위해 기존의 **웹소켓(WebSockets) 대신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s)**로 전환해 성능을 최적화했다.
- 마지막으로, 공과 패들이 메인 창과 탭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물리 엔진을 조정했다.
이 실험이 남긴 것들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아쉬운 점은, AppleScript를 기반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macOS에서만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의 메인 창에서는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며, 탭에서의 프레임 속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전반적인 게임 경험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한다.
로열티는 프로젝트의 전체 소스 코드를 GitHub에 공개했으며, 코드의 품질에 대해 "이건 그냥 프로토타입이기 때문에 엉망"이라고 겸손하게 표현했다. 하지만, 브라우저 탭을 이렇게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크롬 탭을 닫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활용법을 제시하는 재미있는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GitHub에서 직접 소스를 확인하고, 직접 실행해 보고 싶다면 한 번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Mobile - 갤럭시 Z 폴드 7, 새로운 S펜 디자인 유출 – 더 두꺼워진다고?2시간 42분전
-
Computer - 개발자가 240개의 크롬 탭을 활용해 ‘퐁(Pong)’을 실행하는 데 성공하다3시간 42분전
-
Mobile - 애플 M4 맥북 에어, 3월 출시 확정… 폴더블 아이폰은 2026년 기대3시간 58분전
-
Computer - CPU 온도, 몇 도가 정상일까? 알아두면 좋은 팁!3시간 9분전
-
자유게시판 - 저소득층 아이들 그리고 고소득층 자제들... 사고방식이 대단하다.2025-02-23
-
Computer - RTX 5090에서 PhysX 활성화 – RTX 3050을 보조 GPU로 활용하여 성능 극대화2025-02-23
-
Computer - Windows 11 설치 후 꼭 조정하는 7가지 설정2025-02-23
-
Mobile - iPhone 16e 벤치마크 결과 공개! RAM 용량 및 충전 속도까지 확인2025-02-22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0